-
41
-
조선 능제(陵制)의 회격(灰隔) 조성방법 - 장경왕후 초장지(舊禧陵)를 중심으로 -
-
안경호;
명지대학교;
(한국학,
v.32,
2009,
pp.297-332)
-
42
-
≪受敎謄錄≫의 內容과 價値
-
정긍식;
서울대학교;
(규장각,
v.0,
2011,
pp.67-97)
-
43
-
捷解新語 第2次 改修本의 刊行年代에 대하여
-
정승혜;
수원여대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07,
pp.167-188)
-
44
-
등록류(謄錄類)로 살펴본 조선후기 불교사료 검토:『學校謄錄』등 일부 사례를 중심으로
-
박성일;
서울대학교;
(불교학보,
v.0,
2021,
pp.124-154)
-
45.
- 朝鮮後期 東萊地域 木造建築의 特性에 관한 硏究 : 翼工系 建築遺構에 대한 實測調査를 바탕으로
- 지성진
-
釜山大學校, 국내석사,
ix, 147 p., 2006
-
46
-
崔溥 『漂海錄』 版本考
-
朴元熇
;
(書誌學硏究=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,
v.26,
2003,
pp.113-132)
-
47.
- 朝鮮後期 願堂 硏究
- 박병선
-
嶺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iii, 223 p., 2002
-
48
-
『捷解新語』 第2次 改修本의 刊行年代에 대하여
-
정승혜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21,
2007,
pp.167-188)
-
49.
- 전통 중층목조건축의 구성체계 연구
- 신웅주
-
조선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21 p., 2009
-
50.
- 朝鮮時代 御眞에 관한 硏究 : 儀軌를 中心으로
- 김성희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91p., 19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