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34건 중 134건 출력
, 5/14 페이지
-
41
-
중국 싱크탱크의 유형과 특징
-
양갑용;
국민대학교;
(한중사회과학연구,
v.9,
2011,
pp.89-117)
-
42
-
중국의 한반도 관련 싱크탱크
-
허재철;
대외경제정책연구원;
(통일과 평화,
v.13,
2021,
pp.513-526)
-
43
-
일본형 외교안보 싱크탱크 모델: 외무성의 ⟨외교 싱크탱크와의 연계⟩ 프로그램을 중심으로
-
오승희;
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;
(국가안보와 전략,
v.22,
2022,
pp.109-145)
-
44
-
중국 싱크탱크의 발전 현황 및 특징 : 국가의존적 지식인-관료 협력모델
-
이문기;
세종대학교;
(중소연구,
v.38,
2014,
pp.97-122)
-
45
-
중국 싱크탱크의 발전 현황 및 특징 : 국가의존적 지식인-관료 협력모델
-
이문기;
세종대학교;
(중소연구,
v.38,
2014,
pp.97-122)
-
46
-
한국에서 ‘시민사회 싱크탱크’의 발전과 특성: 33개 시민사회 싱크탱크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
-
홍일표;
한겨레경제연구소;
(시민사회와 NGO,
v.9,
2011,
pp.93-128)
-
47
-
과학기술분야 정부 싱크탱크의 McGann지표 평가: 기초기술연구회와 산업기술연구회 소속 싱크탱크를 중심으로
-
황윤원;
중앙대학교;
(한국행정연구,
v.22,
2013,
pp.81-112)
-
48
-
중국의 대만관련 싱크탱크에 관한 연구
-
이광수;
국민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21,
pp.197-219)
-
49
-
지방정부 싱크탱크의 정책역할 연구 : 연구실적의 종단면 및 횡단면적 연구주제 비교분석을 중심으로
-
황윤원;
허만형;
중앙대학교;
중앙대학교;
(한국지방자치학회보,
v.22,
2010,
pp.29-56)
-
50
-
‘네트워크 코디네이터(network coordinator)’의 등장 : 2008년 미국 대선과 진보 싱크탱크의 역할 확장
-
홍일표;
참여사회연구소;
(경제와 사회,
v.0,
2009,
pp.284-31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