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4건 중 154건 출력
, 5/16 페이지
-
41
-
高句麗 國內城期의 도성 경관과 토지 이용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65,
2019,
pp.9-38)
-
42
-
韓・中・日 3國 學界의 <集安高句麗碑> 硏究動向과 課題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6,
pp.125-172)
-
43
-
광개토왕릉비 제1~2면의 비면 현황과 비문 판독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75,
2023,
pp.37-100)
-
44
-
高句麗 初期의 王位繼承原理와 古鄒加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0,
pp.139-196)
-
45
-
고구려 고고학 연구의 기준을 마련하다 - 강현숙ㆍ양시은ㆍ최종택 저, 『고구려 고고학』(진인진, 2020) -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71,
2021,
pp.217-229)
-
46
-
5세기 후반 고구려의 대북위 외교교섭과 동아시아 국제교역망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25,
pp.33-70)
-
47
-
[기획1 : 한국역사연구회 기획발표회 토론요지문] 한국 고대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
-
하일식;
서의식;
여호규;
주보돈;
전덕재;
김창석;
윤선태;
;
(역사와 현실,
v.50,
2003,
pp.339-377)
-
48
-
遺民墓誌銘을 통해본 唐의 東方政策과 高句麗 遺民의 동향
-
여호규;
拜根興;
;
(동양학,
v.0,
2017,
pp.73-103)
-
49
-
서예학적 관점으로 본 ⟨集安高句麗碑⟩의 건립 시기
-
정현숙;
열화당책박물관;
(서지학연구,
v.0,
2013,
pp.297-326)
-
50
-
3세기 전반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고구려의 대외정책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07,
pp.1-4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