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연변조선족자치주 건립에 관한 일 연구 -만주 각지 및 북한 출신 조선인‘建州父’들의 활동과 역할을 중심으로-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학논총,
v.53,
2020,
pp.199-238)
-
42
-
조선족 해원 일기를 통해서 본 북한의 항일빨치산 투쟁사 활용과 문혁기의 ‘석동수 특무 조직사건’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학논총,
v.47,
2017,
pp.363-402)
-
43
-
해방 전후 민족혁명당의 민족통일전선운동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1992,
pp.333-382)
-
44
-
中國 國共內戰期의 滿洲 朝鮮人部隊에 관한 硏究(1948~1950)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04,
pp.197-230)
-
45
-
中國內戰期 滿洲 地方 朝鮮義勇軍 部隊의 活動(1945.8~1946.8) ― 牧丹江 地區의 초기 朝鮮人 部隊 活動을 中心으로 ―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역사교육,
v.0,
2003,
pp.211-244)
-
46
-
조선족 변사 海元의 활동 분석을 통해서 본 1960년대 상반기 연변조선족 사회와 한반도와의 관계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13,
pp.943-979)
-
47
-
8.15후 中國 延邊地方의 조선인 무장부대의 창설과 초기 활동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04,
pp.3-34)
-
48
-
金昌淑의 在中國 獨立運動에 관한 一考察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43,
2003,
pp.223-252)
-
49
-
중국 국공내전기 만주 국민당 지구 韓人의 동향(1948) -瀋陽 거주 韓人의 탈출과 귀환을 중심으로-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07,
pp.175-211)
-
50
-
재만 조선인 항일무장투쟁사 연구 심화를 위한 디딤돌(김효순, ⟨간도특설대⟩, 서해문집, 2014)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5,
pp.411-41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