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마치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: 온 카와라의 ⟨일일회화 Date Paintings⟩와전쟁의 기억
-
우정아;
KAIST;
(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,
v.0,
2007,
pp.52-73)
-
42
-
한국 현대미술에 나타난 개념미술의 담론적 형성과 실천의 양상: S.T 조형미술학회를 중심으로
-
우정아;
포항공과대학교;
(미술사학,
v.41,
2021,
pp.203-231)
-
43
-
서양미술사의 확장된 시간과 공간
-
우정아;
포항공과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21,
pp.569-594)
-
44
-
Fluxus and the Politics of Zen Buddhism
-
우정아;
포항공과대학교;
(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,
v.0,
2022,
pp.83-106)
-
45
-
몰입의 담론적 계보와 잠재적 유토피아: 제임스 터렐, 올라퍼 엘리아슨, 팀랩의 작업을 중심으로
-
우정아;
포항공과대학교;
(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,
v.0,
2020,
pp.119-153)
-
46
-
다나카 고키의 《추상적 발언》과 불안정한 공동체
-
우정아;
포항공과대학교;
(미술이론과 현장,
v.0,
2017,
pp.52-78)
-
47
-
이우환의 ⟨관계항⟩에서 최정화의 ⟨인류세⟩까지: 비인간 행위자로서의 플라스틱과 한국적 모더니즘의 물성(物性)
-
우정아;
포스텍;
(미학예술학연구,
v.63,
2021,
pp.96-120)
-
48
-
‘뮤지엄’의 폐허 위에서: 1990년대 한국 미술의 동시대성과 신세대 미술의 담론적 형성
-
우정아;
포항공과대학교;
(미술사와 시각문화,
v.0,
2017,
pp.130-157)
-
49
-
솔 르윗의 ⟨월 드로잉⟩과 개념미술의 오리지낼리티
-
우정아;
포항공과대학교;
(미술사학,
v.28,
2014,
pp.453-483)
-
50
-
라몬트 영의 미니멀리즘: 플럭서스로부터 시작된 소통의 미학
-
우정아;
포항공과대학교;
(미술사학,
v.26,
2012,
pp.461-48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