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2건 중 102건 출력
, 5/11 페이지
-
41
-
문학(화), 식민지, 근대: 한국근대문학연구의 새 영역
-
윤대석;
인하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07,
pp.416-432)
-
42
-
‘친일문학’과 문학교육
-
윤대석;
명지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11,
pp.9-30)
-
43
-
『화상보』에서의 교양과 과학
-
윤대석;
서울대학교;
(우리말글,
v.70,
2016,
pp.369-395)
-
44
-
1940년대 전반기 조선 거주 일본인 작가의 의식구조에 대한 연구
-
윤대석;
아주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17,
2002,
pp.183-206)
-
45
-
결혼 이주자를 위한 한국어 문학 교육 - 다문화 소설을 중심으로 -
-
윤대석;
서울대학교;
(국어교육연구,
v.0,
2014,
pp.201-229)
-
46
-
김기림 시론에서의 ‘과학’
-
윤대석;
성균관대학교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0,
2006,
pp.225-250)
-
47
-
식민자와 식민지인의 세 가지 만남
-
윤대석;
명지대학교;
(우리말글,
v.57,
2013,
pp.341-364)
-
48
-
서사를 통한 기억의 억압과 기억의 분유
-
윤대석;
인하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07,
pp.77-90)
-
49
-
아카데미즘과 현실 사이의 긴장- 박치우의 삶과 사상 -
-
윤대석;
성균관대학교;
(우리말글,
v.36,
2006,
pp.371-397)
-
50
-
21세기 한국 소설에서의 만주 -≪밤은 노래한다≫론-
-
윤대석;
서울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14,
pp.69-9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