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105건 중 1,000건 출력
, 5/100 페이지
-
41
-
간문화적 소통을 위한 독일음식문화 - 게르만시대와 중세에서
-
최정옥;
;
(헤세연구 = Hesse-Forschung,
v.20,
2008,
pp.457-480)
-
42
-
Kang-wha’s Local Food Culture Storytelling
-
Lee, Jongsoo;
;
(Trans-humanities = 탈경계 인문학,
v.11,
2018,
pp.103-135)
-
43
-
탐라와 몽골의 음식문화 비교연구
-
이종수;
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;
(탈경계인문학Trans-Humanities,
v.5,
2012,
pp.211-243)
-
44
-
금강대도의 음식문화
-
박정금;
금강삼종대학;
(신종교연구,
v.31,
2014,
pp.25-48)
-
45.
-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음식문화 교육방안 : 플립드 러닝을 활용하여
- 오영환
-
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137p, 2022
-
46
-
한국 음식문화의 의미와 표상
-
정혜경;
호서대학교;
(아시아리뷰,
v.5,
2015,
pp.97-121)
-
47.
- 한국 음식문화관광의 역사와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
- 김홍렬
-
청주대학교, 국내석사,
90p., 2019
-
48
-
음식문화 분야 인터넷자원 분류체계 분석을 통한 한국십진분류법의 항목명 확장에 관한 연구
-
정연경;
이미화;
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문헌정보학;
한성대학교 학생지원팀;
(정보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,
v.27,
2010,
pp.49-69)
-
49
-
소설 '토지'에 나타난 경상남도 향토 음식문화
-
김미혜;
정혜경;
호서대학교 에코푸드연구소;
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;
(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,
v.26,
2011,
pp.583-598)
-
50
-
인천과 개성, 한양의 탕(蕩) 음식문화 유래와 변동 분석
-
이종수;
중앙대학교;
(동아연구,
v.33,
2014,
pp.47-8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