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장서각 소장 先生案의 현황과 사료적 가치
-
이남옥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7,
pp.9-44)
-
42
-
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의 관력과 산림직 역임의 의미
-
이남옥;
재 한국국학진흥원;
(국학연구,
v.0,
2023,
pp.151-178)
-
43
-
하곡학파의 지역적 전개와 사상사적 의미
-
이남옥;
재 한국국학진흥원;
(양명학,
v.0,
2021,
pp.67-102)
-
44
-
매계 조위의 피화ㆍ복권과 역사적 평가
-
이남옥;
재 한국국학진흥원;
(영남학,
v.0,
2021,
pp.7-34)
-
45
-
무풍군 이총(李捴)의 피화와 복권의 역사적 의미
-
이남옥;
김천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20,
pp.131-156)
-
46
-
정제두와 서인-노론계의 학술 교유
-
이남옥;
김천대학교;
(양명학,
v.0,
2019,
pp.87-119)
-
47
-
16세기 퇴계학파의 서당 경영
-
이남옥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민족문화논총,
v.0,
2018,
pp.139-169)
-
48
-
한말 지식인 이두훈의 교유관계와 시대인식
-
이남옥;
재 한국국학진흥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23,
pp.131-160)
-
49
-
『箕田攷』와 조선후기 箕子 遺田에 대한 논의
-
이남옥;
한국국학진흥원;
(조선시대사학보,
v.0,
2024,
pp.149-177)
-
50
-
류성룡의 『대학(大學)』 이해와 그 특징
-
이남옥;
한국국학진흥원;
(서애연구,
v.10,
2024,
pp.39-8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