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0건 중 150건 출력
, 5/15 페이지
-
41.
- 교회를 소재로 한 영화의 신학적 읽기의 모색 : 이창동 감독의 <밀양>을 중심으로
- 남성덕
-
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65 p., 2010
-
42.
- 한·중(韓·中) 현실주의 영화의 영상 스타일 비교 연구 : - 한국 감독 이창동과 중국 감독 로우예(婁燁)의 작품을 중심으로 -
- 장한
-
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128p., 2022
-
43
-
이창동 영화 ⟨시⟩에 나타난 세계관 연구
-
김영복;
김종태;
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박사과정;
호서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24,
pp.339-358)
-
44
-
한국문학 프랑스어 번역 연구-이창동 소설을 중심으로-
-
이인숙;
한양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05,
pp.171-197)
-
45
-
의외성의 미학과 진정성의 윤리 : 이창동 소설론
-
박유희;
고려대학교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36,
2017,
pp.205-247)
-
46
-
이창동 소설에 나타난 정치의 (불)가능성과 '벌거벗은 생명’
-
이수형;
명지대학교 국어국문학과;
(어문학,
v.0,
2024,
pp.209-240)
-
47.
- 영화적 리얼리즘에 나타난 유령의 윤리학 : 파졸리니의 <테오레마>, 에리세의 <벌집의 정령>, 이창동의 <시>
- 박인하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79 p., 2020
-
48
-
Magic and Incantation in Lee Chang-dong’s Early Trilogy
-
Pyo, Minsoo;
;
(문학과 영상=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film,
v.24,
2023,
pp.729-754)
-
49
-
Can Local Stories Have Global Universality? : Focusing on the Adaptation Strategy of〈Burning〉
-
Kim, Seung-Hoo;
;
(인문콘텐츠 = Humanities contents,
v.73,
2024,
pp.51-70)
-
50
-
Performativity of Incantation and Figural Fulfillment of Prayer in Lee Chang Dong’s Oasis (2002), Secret Sunshine (2007), and Poetry (2010)
-
Pyo, Minsoo;
;
(영화연구 = Cinema studies,
v.99,
2024,
pp.139-17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