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34건 중 334건 출력
, 5/34 페이지
-
41
-
입양아동이 경험한 입양됨의 의미
-
권지성;
변미희;
안재진;
최운선;
침례신학대학교;
백석대학교;
숙명여자대학교;
명지대학교;
(한국가족복지학,
v.0,
2008,
pp.71-102)
-
42.
- 모래놀이치료가 학령기 입양 아동의 외현화행동문제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
- 곽희은
-
남서울대학교, 국내석사,
iii, 248 p., 2019
-
43.
- “입양 다시 알기” : 아동중심의 법적 패러다임과 한국 국내입양의 재구성
- 엘리사 로메로 모레노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v, 254, 2024
-
44.
- 유아기 아동을 입양한 입양모의 심리사회적 경험 연구
- 정한나
-
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, 국내박사,
, 2022
-
45
-
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egislation to Establish effective Governance of International Child Adoption
-
Park, Kwang Dong;
;
(法學硏究 : 仁荷大學校 法學硏究所 = InHa Law Review,
v.25,
2022,
pp.1-27)
-
46.
- 테라플레이 놀이치료가 입양어머니와 아동의 애착형성 및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
- 윤은정
-
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77p., 2006
-
47
-
A Study on Adoption Entrance Narratives in Korean Children’s Literature -Taemong(the Dream of Conception) as a narrative mediator for entrance into adoption-
-
Kim, Ji-yeon;
Park, Seong-ae;
;
(아동청소년문학연구,
v.35,
2024,
pp.387-424)
-
48
-
Changes in Domestic Adoption Procedures for Children Born Under the Anonymous Birth System
-
Hong, Boyoung;
;
(사회복지정책과실천 =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,
v.10,
2024,
pp.149-183)
-
49
-
입양아동의 국제적 보호
-
이병화;
동덕여자대학교;
(국제법학회논총,
v.48,
2003,
pp.5-164)
-
50
-
냉전시대 글로벌 미국 가정 만들기 -1950년대 한국 아동의 미국 입양-
-
권은혜;
한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원;
(서양사론,
v.0,
2023,
pp.9-3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