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Munmyong Kaehwa and English education: Emerging nationalism and English ideologies in late 19th century Korea
-
장인철;
캐나다 토론토대학;
(외국어교육연구,
v.15,
2012,
pp.43-62)
-
42
-
언어경관을 통해 본 대학 국제화와 다중언어주의
-
장인철;
서울대학교;
(인문학연구,
v.0,
2024,
pp.51-96)
-
43
-
르완다의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리터러시: 디지털 대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
-
장인철;
연세대학교;
(지역발전연구,
v.33,
2024,
pp.43-75)
-
44
-
언어 경관의 영어 교육 활용 가능성 탐색: 멀티미디어 영어 강의를 수강하는 초등 예비 교사 활동 분석
-
장인철;
대구교육대학교;
(영상영어교육,
v.23,
2022,
pp.64-83)
-
45
-
사회계층에 따른 스포츠 참여의 변화:참여정도와 참여형태를 중심으로
-
장인철;
한준영;
영남대학교;
영남대학교;
(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,
v.27,
2014,
pp.67-87)
-
46
-
수능 영어 절대평가 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: 사교육 영어강사 사례
-
류지수;
장인철;
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;
서울대학교;
(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,
v.27,
2018,
pp.1-28)
-
47
-
South Korean STEM Graduate Students’ Use of ChatGPT in Self-Initiated L2 Writing: A Process-Tracing Study
-
성시원;
장인철;
서울대;
서울대학교;
(영어학,
v.24,
2024,
pp.1415-1435)
-
48
-
Policy Failure in Africa: Focusing on Ethiopian ICT Education Policy
-
장인철;
조인영;
연세대학교 글로벌행정학과;
연세대학교 글로벌행정학과;
(한국비교정부학보,
v.28,
2024,
pp.1-20)
-
49
-
최근 10년간(2014~2023) ≪영어학≫ 연구 동향 분석: 계량정보학적 접근
-
남재우;
장인철;
건국대학교;
서울대학교;
(영어학,
v.24,
2024,
pp.348-374)
-
50
-
Exploring Parental Satisfaction with Public English Education during the COVID-19 Pandemic in South Korea
-
장인철;
김현아;
최이진;
대구교육대학교;
University of Toronto;
홍익대학교;
(영어학,
v.22,
2022,
pp.377-39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