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남북한 역사소설의 거리 - 『황진이』중심으로
-
황국명;
;
(韓國學論集,
v.32,
2005,
pp.5-47, 452)
-
42
-
여성의 ‘몸’을 보는 두 개의 서사 : 문자와 영상―전경린의 『내 생에 꼭 하루뿐일 특별한 날』과변영주의 『밀애』를 중심으로
-
정경운;
전남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05,
pp.277-300)
-
43.
- 황진이의 소설적 수용과 그 사회문화적 의미
- 배효진
-
건국대학교, 국내석사,
vi, 102장, 2017
-
44.
- 2000년대 가족서사 연구 : 가족서사의 문학교육적 효용과 연계하여
- 이사랑
-
아주대학교, 국내석사,
62 p., 2015
-
45.
- 한국 현대소설의 모성성 연구
- 김경희
-
조선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58 p., 2005
-
46.
- 역사적 인물의 형상화 연구 : 황진이 모티프를 중심으로
- 전경진
-
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2p., 2006
-
47.
- 황진이 소재 역사소설의 사적 고찰
- 장선희
-
호서대학교, 국내박사,
ii, 131장, 2010
-
48.
- 황진이 설화의 전개와 소설적 변용
- 박선
-
성신여자대학교, 국내석사,
iv, 132 p,, 2009
-
49
-
인어공주와 아마조네스, 그 사이
-
김미현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01,
pp.31-52)
-
50
-
『내 생에 꼭 하루뿐일 특별한 날』의 정신분석학적 의미
-
정연희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39,
2007,
pp.367-38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