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8건 중 118건 출력
, 5/12 페이지
-
41
-
전제의 해석 유형이 아동의 수학적 추론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
-
전평국;
정재숙;
한국교원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E: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,
v.13,
2002,
pp.161-167)
-
42
-
수학적 문제 해결을 위한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표상과 표상의 정교화 과정 분석
-
이양미;
전평국;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;
한국교원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E: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,
v.19,
2005,
pp.305-306)
-
43
-
수학적 의사소통불안에 따른 소집단의 구성 <TEX>${ cdot}$</TEX> 협동학습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-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-
-
전평국;
이진희;
한국교원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E: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,
v.13,
2002,
pp.495-514)
-
44
-
한국의 수학교육, 무엇이 문제인가?
-
전평국;
한국교원대학교;
(한국수학교육학회 2008년도 제40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프로시딩,
v.2008,
2008,
pp.1-10)
-
45
-
수학적 선행경험이 산수학습에 미치는 인지적 효과
-
이명숙;
전평국;
한국교원대 부속국교;
한국교원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A. The Mathematical Education,
v.31,
1992,
pp.93-107)
-
46
-
소비에트 무성영화의 지가 베르토프 영화이론 -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론을 비교중심으로-
-
전평국;
김노익;
경기대학교 영상학과;
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상예술학과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10,
2010,
pp.147-158)
-
47
-
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수학적 문제 해결에서의 표상과 표상의 정교화 과정 분석
-
이양미;
전평국;
대전흥룡초등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A. The Mathematical Education,
v.44,
2005,
pp.627-651)
-
48
-
5, 6학년 학생들의 대표값에 대한 비형식적 개념 분석
-
이춘재;
전평국;
천안일봉초등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A. The Mathematical Education,
v.45,
2006,
pp.319-343)
-
49
-
고등학교(高等學校) 학생(學生)의 대수(代數) 문제(問題) 해결(解決) : 전략(戰略)과 오류(誤謬) 분석(分析)
-
이상원;
전평국;
충북증평공고;
한국교원대학교;
(한국수학교육학회지. 시리즈 E: 수학교육 프로시딩,
v.2,
1997,
pp.181-191)
-
50
-
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수감각 실태 조사
-
전평국;
선춘화;
;
(수학교육,
v.44,
2005,
pp.595-61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