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8건 중 188건 출력
, 5/19 페이지
-
41
-
해방 전후 정인보의 교유 관계
-
이남옥;
재 한국국학진흥원;
(한국학,
v.46,
2023,
pp.53-80)
-
42
-
일제강점기 유교지식인의 공동체 인식과 사회적 지향: 정인보의 ‘얼’사상을 중심으로
-
박태옥;
대전대학교;
(인문과 예술,
v.0,
2023,
pp.1-20)
-
43
-
정인보 조선학의 한학적 기반
-
김진균;
성균관대학교;
(한국실학연구,
v.0,
2013,
pp.463-496)
-
44
-
위당 정인보의 유교적 개혁주의 사상
-
이황직;
연세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03,
pp.287-325)
-
45
-
정인보의 양지(良知) 감통론(感通論)
-
조은덕;
숭실대학교;
(유학연구,
v.37,
2016,
pp.121-150)
-
46
-
정인보의 학문 연원과 조선학 인식
-
이남옥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유학연구,
v.38,
2017,
pp.213-240)
-
47
-
위당 정인보의 조선학 인식과 지향
-
윤덕영;
국사편찬위원회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15,
pp.429-469)
-
48
-
정인보 實心論의 양명좌파적 특징
-
이상호;
계명대학교;
(양명학,
v.0,
2005,
pp.199-228)
-
49
-
위당 정인보의 실심 감통과 경세제민
-
한정길;
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;
(동양철학,
v.0,
2023,
pp.207-243)
-
50
-
정인보의 한국불교에 관한 인식과 탐구
-
여희정;
대지고등학교;
(동양학,
v.0,
2021,
pp.147-16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