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18세기 군주성학론(君主聖學論)의 심학화(心學化)
-
유미림;
;
(한국정치학회보=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,
v.35,
2001,
pp.7-27, 521)
-
42
-
조선초 세종 시기의 『주역(周易)』 경연(經筵) 현황과 군신간의 정치적 활용 사례 연구
-
황병기;
대진대학교 인문학연구소;
(동방학지,
v.0,
2024,
pp.37-66)
-
43
-
귤산(橘山) 이유원(李裕元) 저술의 종합적 검토를 통해 본 이유원의 문화사적 의미
-
권진옥;
단국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22,
pp.9-42)
-
44
-
조선시대 『歷代君鑑』ㆍ『歷代臣鑑』의 수용 양상과 특징
-
조계영;
;
(奎章閣,
v.38,
2011,
pp.27-61)
-
45.
- 徐命膺의 天人流通 思想에 관한 연구 : 『先天四演』과 『尙書逸志』를 중심으로
- 이창규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, 149 p., 2023
-
46
-
퇴계의 서원관과 조선후기 소수서원 講學의 변화
-
김자운;
충남대학교;
(퇴계학논집,
v.0,
2016,
pp.121-158)
-
47
-
율곡 『聖學輯要』의 성왕론 - 『大學衍義』, 『聖學十圖』와 비교를 중심으로
-
권상우;
계명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40,
2019,
pp.135-158)
-
48
-
도의 전승에 관한 송대 도학가들의 신념과 도통 관념 - 이정 및 정문제자의 사상과 주희의 계승을 중심으로 -
-
임명희;
북경대 철학과 박사과정;
(동아연구,
v.0,
2009,
pp.29-58)
-
49
-
군권을 둘러싼 공(公)ㆍ공(共)의 갈등과 명(明)ㆍ청(淸)정부의 재발견 - 장거정(張居正)과 황종희(黃宗羲)를 중심으로
-
장현근;
;
(정치사상연구 = The Korean review of political thought,
v.16,
2010,
pp.9-27, 193)
-
50
-
조선시대 어제시의 창작 양상과 그 의미
-
이종묵;
서울대학교;
(藏書閣,
v.0,
2008,
pp.169-19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