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75건 중 375건 출력
, 5/38 페이지
-
41
-
남북한 문학장에서 조명희 문학의 위상
-
임옥규;
청주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22,
pp.161-190)
-
42
-
A Study of Hangul Orthography Observe Cho, Myung Hee’s 『Spring a Lawn on Top 』
-
Hwang, Gyeong-su;
;
(영주어문,
v.40,
2018,
pp.365-387)
-
43
-
조명희의 연해주에서의 문학 활동에 관한 연구
-
장사선;
우정권;
홍익대학교;
단국대학교;
(우리말글,
v.33,
2005,
pp.383-414)
-
44
-
한국에 온 톨스토이
-
박진영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2011,
2011,
pp.193-227)
-
45
-
공간정보 융 · 복합 산업을 이끌어갈 글로벌 리더 양성과 일자리 창출
-
조명희;
;
(국토 = Planing and policy,
v.2013,
2013,
pp.19-24)
-
46
-
조명희 문학에 나타난 장소성과 장소상실의 의미
-
김신정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국제한인문학연구,
v.1,
2015,
pp.43-81)
-
47
-
분단과 이산의 코리아문학 ― 포석 조명희와 벽암 조중흡
-
김성수;
성균관대학교;
(국제한인문학연구,
v.0,
2022,
pp.11-36)
-
48
-
고향의식의 발현과 사회주의적 민족주의에의 지향 - 조선과 구소련을 잇는 조명희 문학을 중심으로 -
-
임형모;
한성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4,
2010,
pp.303-331)
-
49
-
한국에 있어서 카프시의 문학적 功과 過― 한 망명 문학가의 숙명, 조명희의 경우
-
김영미;
국립공주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25,
pp.45-80)
-
50
-
A Study of Colonial Author Image in Hwadu
-
Lim, Mi-jin;
;
(국어국문학,
v.184,
2018,
pp.475-50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