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0건 중 140건 출력
, 5/14 페이지
-
41
-
최한기(崔漢綺)의 신기(神氣) 논의와 중서의학 비판: 화담학(花潭學)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
-
조성산;
;
(의사학,
v.28,
2019,
pp.373-426)
-
42
-
18세기 艮翁 李獻慶의 理勢論과 心性論
-
조성산;
성균관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21,
pp.151-179)
-
43
-
18세기 후반~19세기 전반 조선 지식인의 語文 인식 경향
-
조성산;
;
(한국문화,
v.0,
2009,
pp.177-202)
-
44
-
玉所 權燮(1671~1759)의 學風과 現實觀
-
조성산;
;
(동양학,
v.0,
2007,
pp.125-146)
-
45
-
토러스 형상 돌기의 흡착특성 유한요소해석
-
조성산;
양승민;
홍익대학교 기계 시스템디자인공학과;
홍익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;
(한국윤활학회 2002년도 제35회 춘계학술대회,
v.2002,
2002,
pp.179-184)
-
46
-
18세기 후반~19세기 전반 ‘朝鮮學’ 형성의 전제와 가능성
-
조성산;
고려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9,
pp.179-240)
-
47
-
17세기 서울·경기지역 西人의 心學 연구경향과 그 성격
-
조성산;
고려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4,
pp.269-309)
-
48
-
기계.시스템 디자인 공학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사례 연구
-
한병기;
최성준;
김병주;
조성산;
김정수;
지해성;
박승호;
홍익대학교 기계.시스템디자인공학과;
홍익대학교 대학원;
홍익대학교 기계.시스템디자인공학과;
홍익대학교 기계.시스템디자인공학과;
홍익대학교 기계.시스템디자인공학과;
홍익대학교 기계.시스템디자인공학과;
홍익대학교 기계.시스템디자인공학과;
(공학교육연구 =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,
v.7,
2004,
pp.40-50)
-
49
-
이강회李綱會의『탐라직방설耽羅職方說』과 제주도濟州道
-
조성산;
고려대학교;
(다산학,
v.0,
2008,
pp.49-80)
-
50
-
조선후기 성호학의 ‘지역성’ 담론
-
조성산;
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13,
pp.25-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