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楊平출토 金銅佛立像 연구- 삼국시대 巨大佛像의 殘影들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한국고대사탐구,
v.0,
2010,
pp.155-199)
-
42
-
황룡사 장육상의 제작기법에 대한 연구
-
주수완;
사한국미술사연구소;
(신라사학보,
v.0,
2011,
pp.395-438)
-
43
-
역사 속에 나타난 미술의 세계화-양식전파론에서 환경전파론으로의 전환에 관한 시론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3,
pp.127-158)
-
44
-
석조기법의 형성과정과 중대신라 화강암 조각의 완성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5,
pp.73-99)
-
45
-
항마성도상과 신라 화엄종 미술의 형성-부석사 무량수전 촉지인 불좌상 해석의 몇 가지 문제점-
-
주수완;
사한국미술사연구소;
(선사와 고대,
v.0,
2012,
pp.63-88)
-
46
-
斷石山 神仙寺 磨崖佛의 圖像學的 再考 ‒ 삼국시대 授記三尊과 반가상 도상의 전개 ‒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한국불교학,
v.0,
2016,
pp.275-302)
-
47
-
골굴석굴과 공현석굴 제 1굴의 비교연구
-
주수완;
우석대학교;
(강좌미술사,
v.0,
2020,
pp.95-116)
-
48
-
반구대 암각화 고래도상의 미술사적 의의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강좌미술사,
v.0,
2016,
pp.89-107)
-
49
-
조선 후반기 제1기(광해군-경종) 불교건축과 예배상과의 관계에서 본 도상의미 연구
-
주수완;
사한국미술사연구소;
(강좌미술사,
v.0,
2012,
pp.205-234)
-
50
-
삼국시대 年號銘 金銅佛像의 제작연대에 관한 연구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11,
pp.187-22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