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533건 중 1,000건 출력
, 5/100 페이지
-
41.
- 주희 귀신론의 교육학적 해석 : 교육의 종교적 차원
- 노영실
-
충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v, 116 p., 2006
-
42
-
‘다른 근대’와 주희 주권론의 현재성
-
김상준;
경희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16,
pp.247-283)
-
43
-
화엄 法界觀과 주희 理氣論의 異同을 통해서 본 儒佛의 交涉
-
황갑연;
;
(陽明學 = Yang-ming studies,
v.28,
2011,
pp.229-260)
-
44.
- 주희(朱熹)『소학(小學)』사상의 형성과 교육적 함의
- 전선숙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, 187 p., 2019
-
45
-
주희가 본 육구연 심학과 선(禪)
-
정상봉;
건국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22,
pp.279-315)
-
46
-
Chu Hsi’s Opinion on Studying History books
-
Lee, Woo-jin;
;
(敎育哲學硏究 =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,
v.41,
2019,
pp.119-134)
-
47
-
1196년 慶元黨禍의 사상정국에서 주희의 정치적 좌절을 통해서 본 주희의 도학정치고찰
-
이욱근;
충남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,
2009,
pp.473-507)
-
48
-
주희의 시론 - 도학가와 시인 사이의 갈등
-
홍광훈;
;
(中語 中文學,
v.26,
2000,
pp.409-431)
-
49
-
주희와 아우구스티누스의 선악론 비교
-
김철호;
경인교육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22,
pp.189-225)
-
50
-
주희 修養論에서 涵養과 體認
-
이상돈;
서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8,
pp.369-40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