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96건 중 196건 출력
, 5/20 페이지
-
41
-
러시아연방 아시아지역의 경제 현황과 개발 전망
-
한종만;
;
(Oughtopia : 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,
v.23,
2008,
pp.245-280)
-
42
-
South Korea’s East Asian Trade Policy: Geoeconomic Strategy in the RCEP
-
박창건;
이영매;
국민대학교;
국민대학교;
(신아세아,
v.32,
2025,
pp.33-69)
-
43
-
일대일로(一帶一路) 구상의 지경학(地經學) : 중아합작(中俄合作) 대 연아타중(連俄打中)
-
이왕휘;
아주대학교;
(국가안보와 전략,
v.17,
2017,
pp.43-81)
-
44
-
발트 해 지역의 경제통합을 위한 현실화에 관한 연구
-
김영술;
전남대학교;
(EU연구,
v.0,
2013,
pp.471-520)
-
45
-
Interrelationship between New Southern Policy and “Indo-Pacific Strategy”: A Study on the Mutual Complementation of Geopolitics and Geoeconomics
-
Choi, JAE DUK;
;
(世界地域硏究論叢= (The)Korean journal of area studies,
v.37,
2019,
pp.321-356)
-
46
-
지경학 관점에서 본 ‘동아시아철도공동체’ 구상과 현실: 남북철도 및 북한철도 건설의 경제적 손익 중심으로
-
김송죽;
이화여자대학교;
(평화와 종교,
v.0,
2018,
pp.95-133)
-
47
-
타협과 실험의 공간으로서의 특구: 대만 가오슝가공수출구를 사례로(特區作爲一種妥協與實驗空間: 台灣 高雄加工出口區)
-
쉬진위;
박배균;
타이완국립대학 지리환경자원학과;
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;
(한국경제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,
v.19,
2016,
pp.173-188)
-
48
-
러시아 사할린州의 자원생산 및 무역구조에 대한 경제지리학적 해석
-
이영형;
;
(Oughtopia : 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,
v.25,
2010,
pp.77-101)
-
49.
- 東北亞經濟圈의 形成과 釜山地域 港灣物流産業의 競爭力 提高方案
- 김재승
-
동아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68p., 2002
-
50
-
‘일대일로’에 대한 비판지정학적 고찰에 관한 연구 : 행위자-네트워크 이론(ANT)을 중심으로
-
김세윤;
중국 길림사범대학교;
(한국과 국제사회,
v.4,
2020,
pp.235-26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