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,555건 중 1,000건 출력
, 5/100 페이지
-
41
-
『민속기록학과 지역공동체 아카이브』 김덕묵, 민속원, 2016
-
이경래;
한신대학교 기록학;
(기록학연구 =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,
v.50,
2016,
pp.425-428)
-
42
-
지역기반 아동돌봄공동체 활동의 저해 및 활성화 요인 탐색 -전북지역 사례를 중심으로-
-
이주연;
황미진;
전북연구원;
전북대학교 아동학과;
(가족자원경영과 정책 =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,
v.25,
2021,
pp.69-85)
-
43
-
지역공동체 문제해결을 위한 Co-creation 접근
-
홍순구;
한세억;
이현미;
동아대학교;
동아대학교;
부산대학교;
(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,
v.17,
2014,
pp.1-24)
-
44
-
동북아지역공동체 형성 논의를 위한 로크의 주권론 - 오토피아 이론과 관련하여
-
오영달;
;
(Oughtopia : 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,
v.21,
2006,
pp.5-37)
-
45
-
사회운동의 시대 : 일제 침략기 지역 공동체의 역동성
-
김중섭;
;
(현상과 인식 = The Korean journal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,
v.34,
2010,
pp.71-95, 376-377)
-
46
-
지역공동체 재창조를 위한 지역정보화의 방향과 과제에 관한 탐색
-
김구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,
v.13,
2010,
pp.1-21)
-
47
-
일본의 동아시아 지역공동체 構想 - 대동아공영권과 ‘동아시아 공동체’의 비교를 중심으로
-
조정원;
;
(동북아문화연구 = Journal of north-east asian cultures,
v.20,
2009,
pp.475-490)
-
48
-
지역 공동체를 만드는 현대미술과 미술교육
-
고은실;
고려대학교;
(예술교육연구,
v.7,
2009,
pp.157-172)
-
49.
- 지역공동체 사업에 의한 어린이집 밖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사례연구 : 양평군 교사학습공동체 Y.E.S. 사례를 중심으로
- 박경진
-
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168, 2024
-
50
-
지역신문과 지역공동체의 구축 : 충북 옥천지역 사례를 중심으로
-
차재영;
충남대학교;
(언론과학연구,
v.8,
2008,
pp.592-62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