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한대문학에 나타난 도가사상
-
신주석;
명지대학교;
(중국문화연구,
v.0,
2008,
pp.165-185)
-
42.
- '得_(2)字句' 硏究
- 박분남
-
慶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i, 112p., 2004
-
43
-
苗族 生死觀 考察
-
류창진;
임선희;
전남대학교;
전남대학교;
(중국인문과학,
v.0,
2009,
pp.393-410)
-
44
-
正祖의 古文 指向과 御定 《唐宋八子百選》
-
오수형;
서울대학교;
(중국문학,
v.67,
2011,
pp.135-166)
-
45
-
唐代傳奇에 나타나는 詩 小考
-
南敏洙;
慶一大學校;
(동아인문학,
v.0,
2007,
pp.171-202)
-
46
-
秦汉简牍材料中“庶人”身份的自由性刍议
-
賈 麗 英;
河北師範大學歷史文化學院 石家莊;
(동서인문,
v.0,
2019,
pp.167-195)
-
47
-
科擧制度의 관점에서 본 韓中 소설 試論
-
김효민;
고려대학교;
(중국소설논총,
v.0,
2008,
pp.257-276)
-
48
-
新時期 중국 여성의 性別意識 형성연구
-
김미란;
대전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02,
pp.105-122)
-
49.
- <徐直修 省像>의 특징과 표현기법 연구 : 고색복원모사 제작과정을 중심으로
- 허현정
-
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, 국내석사,
p153, 2022
-
50
-
如何學習漢字
-
장은보;
중국 洞北師範大學;
(중국학논총,
v.0,
1997,
pp.283-29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