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67건 중 567건 출력
, 5/57 페이지
-
41
-
‘借字’, ‘借音’에 대한 『玄應音義』用例글자 分析
-
이경숙,;
;
(동북아문화연구 = Journal of north-east asian cultures,
v.1,
2013,
pp.193-209)
-
42
-
借字 表記 「美ㆍ好」에 對하여
-
李正龍;
;
(지명학 = Journal of the place name society of Korea,
v.11,
2005,
pp.89-109)
-
43
-
조선 前期 조리서의 김치 명칭 借字 표기 연구 -土邑과 毛隱止 및 捫之沈菜 사례-
-
박채린;
한국식품연구원부설 세계김치연구소;
(민족문화,
v.61,
2022,
pp.199-238)
-
44
-
On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-Based Notation Systems Before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
-
Heo, Inyeong;
;
(시민인문학 = Citizen and humanities,
v.48,
2025,
pp.405-434)
-
45
-
차자표기에 나타나는 초성·종성 통용자
-
이용;
서울시립대학교;
(구결연구,
v.0,
2023,
pp.205-228)
-
46
-
上疏와 箚子의 형식 및 분류
-
이강욱;
한국승정원일기연구소;
(한국문화,
v.0,
2018,
pp.127-183)
-
47
-
陸游 箚子文 譯解(1)
-
이기훈;
국립공주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24,
pp.417-438)
-
48
-
古代國語時期의 借字表記 ‘良’의 讀音 考察
-
조재형;
;
(語文論集 = The journal of language & literature,
v.40,
2009,
pp.101-123)
-
49
-
上代漢字借字表記에서의 脣內入聲의 受容
-
이지수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24,
2007,
pp.521-542)
-
50.
- 고구려말의 차자표기 연구 : 「삼국사기」권35, 37을 중심으로
- 임병준
-
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194p., 199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