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8건 중 168건 출력
, 5/17 페이지
-
41
-
고전학자의 삶ㆍ학문ㆍ세계, 그 확장과 심화의 도정 - 한국문학연구자 임형택 -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2,
pp.459-511)
-
42
-
18?19세기 '複數 창작 전'의 창작 경위와 글쓰기 방식-흔적, 기억, 창조: '언어적' 인간의 탄생과 棲息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5,
pp.289-327)
-
43
-
'전승'과 '창작'의 관점에서 본 판소리 정체성의 재규정과 제언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판소리연구,
v.0,
2012,
pp.357-409)
-
44
-
‘사건화’된 일상과 ‘활자화’된 근대: 근대초기 결혼과 여성의 몸, 섹슈얼리티- 『한성신보』(1895-1905) ‘잡보’란이 조명한 근대초기의 결혼생활 스케치
-
최기숙;
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4,
pp.231-285)
-
45
-
계몽의 이면, 무시와 혐오의 감성 정치 - 한성신보(1895-1904) 잡보란을 통해 본 ‘조선’의 표상화 맥락과 감정 수사-
-
최기숙;
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5,
pp.5-45)
-
46
-
젠더 비평: 메타 비평으로서의 고전 독해
-
최기숙;
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06,
pp.319-348)
-
47
-
출구 없는 여성, 여성적 시간의 식민화-1910년대 최찬식 소설의 ‘여학생’ 형상화-
-
최기숙;
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04,
pp.311-341)
-
48
-
'관계성'으로서의 섹슈얼리티: 성, 사랑, 권력-18,19세기 야담집 소재 '강간'과 '간통' 담론을 중심으로
-
최기숙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03,
pp.243-275)
-
49
-
女工ㆍ婦德ㆍ梱政과 ‘영혼 노동’: 조선시대 양반 여성의 결혼생활과 노동/장 재성찰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인문과학,
v.123,
2021,
pp.297-331)
-
50
-
조선시대(17세기-20세기 초) 壽序의 문예적 전통과 壽宴 문화
-
최기숙;
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12,
pp.99-14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