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E.T.A. 호프만 문학과 자연과학
-
최민숙;
이화여자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09,
pp.285-318)
-
42
-
동화의 미로찾기 - 호프만의 『호두까기인형과 생쥐 왕』의 서술구조
-
최민숙;
이화여자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03,
pp.195-218)
-
43
-
에.테.아. 호프만의 「사촌의 구석 창문」 (1822) - 작가성의 위기와 현실인지 과정을 중심으로 -
-
최민숙;
이화여자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12,
pp.105-130)
-
44
-
영화적 표현가능성의 선취로서의 연극-브레히트의 서사극의 원칙들과 영화미학-
-
최민숙;
이화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03,
pp.268-287)
-
45
-
괴테문학 속 물의 의인화 현상 -발라드 「어부」를 중심으로
-
최민숙;
이화여자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45,
2004,
pp.126-146)
-
46
-
E.T.A. 호프만의 『황금단지Der goldne Topf』 연구
-
최민숙;
이화여자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06,
pp.93-125)
-
47
-
E.T.A. 호프만의 『호두까기인형과 생쥐 왕』의 ‘성년식’모티브와 주인공의 자아인식 과정
-
최민숙;
이화여자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02,
pp.156-185)
-
48
-
에.테.아. 호프만의 ⟨사촌의 구석 창문⟩(1822)에 나타난 내면 통찰로서의 외부 조망
-
최민숙;
이화여자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13,
pp.161-186)
-
49
-
미하엘 엔데의 아동청소년환상문학과 낭만주의 쿤스트메르헨의 상호텍스트성*- 엔데의 메르헨소설 ⟨모모⟩(1973)를 중심으로
-
최민숙;
이화여자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48,
2007,
pp.78-103)
-
50
-
업 사이클링 디자인 특성 연구
-
최민숙;
홍익대학교;
(기초조형학연구,
v.13,
2012,
pp.551-56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