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『표해록』에 나타난 조선 시대 선원 조직과 항해술
-
김성준;
한국해양대학교;
(한국항해항만학회지,
v.30,
2006,
pp.787-791)
-
42.
- 崔溥 『漂海錄』의 기행문학적 연구
- 김미선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85 p., 2006
-
43.
- 한국 실기문학의 일본어 번역양상 연구 : 『唐土行程記』와 『朝鮮懲毖錄』을 중심으로
- 우채리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96 p., 2022
-
44
-
실기문학 속 사실체험 공간으로서의 바다 - 『노송당일본행록』, 『표해록』, 『월봉해상록』을 대상으로 -
-
김미선;
전남대학교;
(『도서문화』,
v.0,
2016,
pp.35-62)
-
45
-
明代御倭赏格制度的法律探析 - 以崔溥《漂海录》为视角 -
-
孙晓鸣;
华东政法大学法律学院;
(중국법연구,
v.42,
2020,
pp.53-70)
-
46
-
明代 朝鮮 漂流民의 送還節次와 情報傳達 ―崔溥 『漂海錄』을 중심으로―
-
박원호;
고려대학교;
(명청사연구,
v.0,
2005,
pp.65-92)
-
47
-
여행 경험 서사를 활용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
-
윤인선;
한밭대학교;
(기호학 연구,
v.66,
2021,
pp.61-84)
-
48
-
점필재 김종직의 「乇羅歌」 재조명-최부의 「耽羅詩三十五絶」과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-
-
임준성;
조선대학교;
(『도서문화』,
v.0,
2012,
pp.235-259)
-
49
-
병와 이형상의 「荒服願戴歌」에 대한 소고
-
김새미오;
제주대학교;
(탐라문화,
v.0,
2024,
pp.207-236)
-
50
-
『漂海錄』 문화콘텐츠 만들기 연구
-
안영길;
성결대학교;
(동북아 문화연구,
v.1,
2007,
pp.57-7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