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09건 중 209건 출력
, 5/21 페이지
-
41
-
成汝信의 「遊頭流山詩」에 대하여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6,
pp.41-73)
-
42
-
德山九曲 設定의 필요성과 의의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6,
pp.191-228)
-
43.
- Essays on the business cycle comovement and macroeconomic asymmetries in a two-sector new Keynesian model
- 최석기
-
Graduate School, Yonsei University, 국내박사,
vii, 97장, 2016
-
44
-
「武夷櫂歌」 수용양상과 陶山九曲詩의 성향
-
최석기;
;
(퇴계학논총,
v.0,
2014,
pp.87-115)
-
45
-
조선시대 士人들의 지리산유람을 통해 본 士意識* -15∼16세기 지리산 유산기를 중심으로-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漢文學報,
v.20,
2009,
pp.37-70)
-
46
-
조선후기 嶺南의 經學硏究와 疏通의 摸索
-
최석기;
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08,
pp.169-204)
-
47
-
黃俊良의 智異山 紀行詩에 대하여 -「遊頭流山紀行篇」을 중심으로-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11,
pp.7-42)
-
48
-
南塘 韓元震의 中庸 解釋 方法과 그 成果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漢文學報,
v.16,
2007,
pp.217-250)
-
49
-
?蘆坡集? 解題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14,
2002,
pp.18-481)
-
50
-
士農窩 河益範의 삶과 문학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08,
pp.153-19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