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95건 중 295건 출력
, 5/30 페이지
-
41
-
Curator Curriculum for E-Sports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
-
Hong, Sang Woo;
;
(슬라브 학보,
v.34,
2019,
pp.125-142)
-
42
-
1990년대 이후 한국미술의 세계화 맥락에서 본 광주비엔날레와 문화매개자로서의 큐레이터
-
양은희;
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;
(현대미술사연구,
v.0,
2016,
pp.97-128)
-
43
-
A Study on the Design Thinking DEI-C Model of Visitors UX and Curatorship EX for Art Museum Service Design
-
Yang, Yeon Kyoung;
;
(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,
v.30,
2024,
pp.205-219)
-
44
-
민속을 찾아서-전통생태어법 '돌살'
-
이기복;
수산과학관 큐레이터;
(漁港,
v.75,
2006,
pp.24-28)
-
45
-
찰스 바비지의 계산기관에서 인간, 기계, 생각의 관계성
-
임산;
동덕여자대학교 큐레이터학과;
(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: JCCT = 문화기술의 융합,
v.5,
2019,
pp.111-116)
-
46
-
저항하는 몸: 말레이시아 미술에서 사회적 저항의 수단으로서 형상회화
-
로라 팬;
독립큐레이터;
(미술이론과 현장 = the Journal of art theory & practice,
v.8,
2009,
pp.185-215)
-
47
-
박물관 전시콘텐츠에 대한 시각인류학적 접근
-
심재석;
영남대학교;
(고문화,
v.0,
2006,
pp.111-123)
-
48
-
존 러스킨의 자연 연구
-
임산;
동덕여자대학교 큐레이터학과;
(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: JCCT = 문화기술의 융합,
v.6,
2020,
pp.299-304)
-
49
-
Nam June Paik’s Video Art from the Perspective of Copyright Law - Conflict between the Artist’s Right of Integrity and the Owner/Curator’s Interpretation -
-
Nam, Hyung Doo;
;
(著作權,
v.35,
2022,
pp.69-121)
-
50
-
역사적 재방문으로서의 재전시: 《태도가 형식이 될 때 1969 베른/ 2013 베니스》(2013)와 《백남준 : 모든 감각을 위한 음악》(2009) 전을 중심으로
-
현시원;
큐레이터, 시청각 대표;
(예술과 미디어,
v.21,
2022,
pp.131-15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