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48건 중 348건 출력
, 5/35 페이지
-
41.
- 대만 수필집 『遇見狐獴學會愛』의 한국어 번역 양상 연구 : 관련성 이론을 중심으로
- 웅신향
-
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141 p., 2025
-
42.
- 내용 중심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문화와 한국어 통합 교육 연구 :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문학 수업 수필 〈설〉을 중심으로
- 용소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98 p., 2020
-
43
-
디아스포라, 민족과 자아 그리고 융합의 글쓰기 -재일동포 한국어 수필을 중심으로-
-
홍원경;
경희대학교;
(다문화콘텐츠연구,
v.0,
2014,
pp.355-384)
-
44.
-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수필 교육 연구
- 김재연
-
忠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78p., 2020
-
45.
-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위한 수필 교육 방안 연구
- 안선희
-
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6
-
46.
- 한흑구 수필 연구
- 김진경
-
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, 79p., 1991
-
47
-
1940년대 중국 동북지구 한국문학작품 연구-수필 사화집 『滿洲朝鮮文藝選』 을 중심으로
-
오양호;
윤윤진;
한국정신문화 연구원;
吉林大學;
(국제한인문학연구,
v.1,
2011,
pp.145-172)
-
48
-
1950년대 한국의 린위탕(林語堂) 문학 번역⋅수용 연구 -수필/소품문을 중심으로-
-
왕캉닝;
고려대학교;
(국제어문,
v.0,
2020,
pp.501-530)
-
49
-
젠더화된 재난의 기억과 ‘여성-국민’의 글쓰기 -한국전쟁기 여성 수필을 중심으로-
-
장은영;
조선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22,
pp.321-355)
-
50.
- 燕巖 朴趾源의 「馹汛隨筆」 연구
- 주자유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88 p., 202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