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5건 중 125건 출력
, 5/13 페이지
-
41.
- 신라 초기 ‘밝문화’의 일본 전파와 古神道의 성립 : 延烏郞과 天日槍을 중심으로
- 이강민
-
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, 2016
-
42
-
论《诗经》园林诗发微
-
이승초;
최영준;
전북대학교;
전북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23,
pp.151-167)
-
43
-
‘金’, ‘淸’皇朝와 新羅 ‘麻衣太子’의 相關 可能性에 대한 推論
-
김병기;
전북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18,
pp.161-185)
-
44
-
⟨아이네이스⟩ 1, 6권과 ⟨길도전쟁기⟩ 비교 연구 —스틸리코의 로마적 영웅화 전략을 중심으로—
-
김광호;
서울대학교 서양고전학;
(서양고전학연구,
v.64,
2025,
pp.79-104)
-
45.
- 서남연대와 중국현대지식인에 관한 연구
- 진지아
-
동아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37p., 2012
-
46.
- 한·중정원에 나타난 비보풍수 비교 연구 : 중국4대원림을 중심으로
- 담영
-
가천대학교, 국내석사,
, 2017
-
47
-
신라 애장왕대의 종묘개편과 천자 지향
-
안주홍;
경북대학교;
(영남학,
v.0,
2020,
pp.237-267)
-
48
-
구가 가쓰난(陸羯南)의 “국민” 문화 - 메이지 내셔널리즘의 한 단면
-
표세만;
;
(江原人文論叢,
v.15,
2006,
pp.183-210)
-
49.
- 일제강점기 식민지 교육에 이용된 신화 고찰 : 普通學校 '修身書' '國語讀本'을 중심으로
- 오주록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56 p., 2012
-
50
-
『신찬성씨록』 편찬과 천황제 국가의 지배원리
-
연민수;
동북아역사재단 명예연구위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19,
pp.7-4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