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孝成王 대의 정치 현실과 ⟨怨歌⟩의 의미 고찰
-
황병익;
경성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14,
pp.429-465)
-
42
-
역신(疫神)의 정체와 신라⟨처용가⟩의 의미 고찰
-
황병익;
경성대학교;
(한국학,
v.34,
2011,
pp.127-152)
-
43
-
산화(散花)·직심(直心)·좌주(座主)의 개념과 ⟨도솔가(兜率歌)⟩ 관련설화의 의미 고찰
-
황병익;
경성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15,
pp.399-434)
-
44
-
고전시가의 통속성과 그 사회문화적 배경 고찰
-
황병익;
경성대학교 인문문화학부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24,
pp.7-63)
-
45
-
「제망매가(祭亡妹歌)」의 의미 재고찰
-
황병익;
경성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14,
pp.195-220)
-
46
-
⟨도산십이곡(陶山十二曲)⟩의 의미 재고(再考)II
-
황병익;
경성대학교;
(한국학,
v.36,
2013,
pp.270-297)
-
47
-
高麗,朝鮮時代 歌婢의 文學的 機能 考察
-
황병익;
부산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30,
2002,
pp.9-226)
-
48
-
『삼국유사』 양지사석(良志使錫) 조와 ⟨풍요(風謠)⟩의 의미 고찰
-
황병익;
경성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17,
pp.245-284)
-
49
-
三國遺事 ‘水路夫人’ 條와 ⟨獻花歌⟩의 意味 再論
-
황병익;
경성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0,
2007,
pp.5-40)
-
50
-
⟨禱千手大悲歌⟩의 재해석 -‘一等沙隱賜以古只內乎叱等邪’의 의미를 중심으로-
-
황병익;
경성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26,
2009,
pp.215-24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