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2건 중 102건 출력
, 6/11 페이지
-
51
-
기원전 4 ~ 서기 1세기의 고고학자료로 본 흉노와 동아시아 - 흉노학의 정립을 위한 토대구축을 겸하여
-
강인욱;
부경대학교;
(중앙아시아연구,
v.15,
2010,
pp.1-27)
-
52
-
두만강 유역 청동기시대 문화 의 변천 과정에 대하여 - 동북한 토기의 편년 및 주변 지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-
-
강인욱;
부경대학교;
(한국고고학보,
v.0,
2007,
pp.46-89)
-
53
-
三江平原 滾兎嶺·鳳林문화의 형성과 勿吉·豆莫婁·靺鞨의 출현
-
강인욱;
경희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52,
2015,
pp.107-147)
-
54
-
古朝鮮의 毛皮貿易과 明刀錢
-
강인욱;
부경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11,
pp.243-284)
-
55
-
區系類型論과 중국 동북지방의 고고학-중국 동북지방 고고학에 대한 이론적 접근-
-
강인욱;
서울대학교;
(한국고고학보,
v.56,
2005,
pp.5-26)
-
56
-
러시아 연해주 출토 석검의 연구 - 형식, 편년 및 한반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-
-
강인욱;
부경대학교;
(동북아 문화연구,
v.1,
2011,
pp.51-79)
-
57
-
한국 고고학 성립 시기 청동기 연구에 대한새로운 인식- 윤무병(1924~2010)의 연구를 중심으로 -
-
강인욱;
경희대학교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54,
2021,
pp.154-169)
-
58
-
청동기시대 고대 북방 유라시아와 동북아시아의 네트워크 -전차의 확산을 중심으로-
-
강인욱;
경희대학교;
(선사와 고대,
v.0,
2021,
pp.5-43)
-
59
-
‘벨레스서’로 본 러시아의 위서와 21세기 유라시아 역사분쟁
-
강인욱;
경희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7,
pp.74-97)
-
60
-
유라시아 동부 초원지역 선비·유연 시기 고고학적 문화와 그 의의
-
강인욱;
경희대학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17,
pp.34-7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