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70건 중 170건 출력
, 6/17 페이지
-
51
-
1910년대전반서간도독립운동기지건설과 안동 혁신유림의 역할
-
이계형;
국민대학교;
(만주연구,
v.0,
2022,
pp.47-87)
-
52.
- 朝鮮 更張期 成均館經學科의 교육사적 의미
- 정은주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ⅴ, 58장, 2012
-
53
-
호굉 철학의 경학 기초 - 지언의 춘추학과 역학 -
-
임형석;
경성대학교;
(유학연구,
v.61,
2022,
pp.369-393)
-
54
-
이충익의 양명학적 사고
-
조남호;
;
(陽明學 = Yang-ming studies,
v.21,
2008,
pp.173-203)
-
55
-
傳記的詮釋及其功用演變初探(一
-
조은상;
배재대학교;
(중국어문학지,
v.0,
2003,
pp.425-438)
-
56
-
류성룡의 『대학(大學)』 이해와 그 특징
-
이남옥;
한국국학진흥원;
(서애연구,
v.10,
2024,
pp.39-86)
-
57
-
『闕餘散筆』의 학술적 가치와 譯註의 의의
-
박재영;
한국고전번역원;
(고전번역연구,
v.0,
2022,
pp.231-272)
-
58
-
『墨子』의 「書」 引用에 관한 硏究
-
이은호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1,
pp.185-220)
-
59.
- 17세기 士林의 '廟寢制' 인식과 書院 영건
- 정기철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책 (면수복잡), 1999
-
60
-
금강대도 종리학의 성과와 전망
-
이재헌;
금강삼종대학;
(신종교연구,
v.51,
2024,
pp.25-5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