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3건 중 183건 출력
, 6/19 페이지
-
51
-
Extracellular Matrix 배지에서 생쥐 배아의 발생 및 아폽토시스
-
강병문;
손인표;
정병목;
최규완;
계명찬;
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;
경기대학교 자연과학부 생물학과;
경기대학교 자연과학부 생물학과;
바이오메드 연구소;
경기대학교 자연과학부 생물학과;
(대한불임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fertility and sterility,
v.27,
2000,
pp.253-259)
-
52
-
폐경기모델 백서 해마에서 식물성 에스트로젠에 의한 뇌-혈액장벽 유전자 occludin 발현의 변화
-
강한승;
정경아;
강희정;
김다혜;
안혜선;
엄애선;
계명찬;
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;
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;
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;
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;
(환경생물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,
v.24,
2006,
pp.166-171)
-
53
-
발정주기 동안 생쥐 자궁에서의 Aquaporin-4와 -8 유전자의 발현
-
Lee Ji Won;
Kang Han Seung;
Gye Myung Chan;
Hong Seok Ho;
Shin Hyeonsang;
Kang Soo Mnn;
Lee Sung Eun;
Kim Moon Kyoo;
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,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학교실;
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;
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;
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학교실;
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;
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;
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;
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;
(발생과 생식 = Development and reproduction,
v.8,
2004,
pp.49-55)
-
54
-
중금속이 양서류 배아, 유생 및 성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소고
-
박찬진;
안효민;
계명찬;
;
(환경생물,
v.30,
2012,
pp.287-306)
-
55
-
풀망둑 (Synechogobius hastus)의 난황형성과 난황전구 단백질
-
계명찬;
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;
(한국환경생물학회 2002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및 심포지움 초록집,
v.2002,
2002,
pp.74-74)
-
56
-
밀어의 (Rhinogobius brunneus) 비텔로제닌 프로세싱과 에스트로젠에 의한 혈청단백질의 변화
-
계명찬;
경기대학교 생물학과;
(한국발생생물학회 2001년도 전기 제11차 학술대회 논문집,
v.2001,
2001,
pp.71-73)
-
57
-
풀망둑 (Synechogobius hastus)의 난황형성과 난황전구 단백질
-
계명찬;
최진국;
경기대학교 자연과학부 생물학과;
경기대학교 자연과학부 생물학과;
(한국발생생물학회 2002년도 전기 제14차 학술대회 논문집,
v.2002,
2002,
pp.39-39)
-
58
-
한국산 무당개구리 (Bombina orientalis) 난황전구단백질 cDNA 염기서열 결정 및 유전자발현의 RT-PCR 검출
-
이명식;
계명찬;
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;
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;
(한국환경생물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,
v.2004,
2004,
pp.19-19)
-
59
-
밀어의 (Rhinogobius brunneus)에서 에스트로젠 및 nonylphenol에 의한 혈청단백질 및 난황전구 단백질의 유도
-
계명찬;
최진국;
경기대학교 자연과학부 생물학과;
경기대학교 자연과학부 생물학과;
(한국환경생물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,
v.2001,
2001,
pp.140-140)
-
60
-
생쥐 초기 배아에서 Suppressors of Cytokine Signalling(SOCS)의 발현과 조절
-
김다혜;
계명찬;
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;
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;
(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5년도 제5회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,
v.2005,
2005,
pp.49-4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