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3건 중 103건 출력
, 6/11 페이지
-
51
-
만주망명가사와 디아스포라
-
고순희;
부경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30,
2011,
pp.165-194)
-
52
-
일제강점기 ⟨경탄가⟩ 연구 -한 명문대가 후예의 봉건적 지식담론과 가문의식-
-
고순희;
부경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39,
2015,
pp.143-168)
-
53
-
일제강점기 가일마을 안동권씨 가문의 가사 창작 —항일가사 ⟨꽃노래⟩와 만주망명가사 ⟨눈물 뿌린 이별가⟩
-
고순희;
부경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10,
pp.133-158)
-
54
-
만주망명과 여성의 힘 -가사문학 ⟨원별가라⟩·⟨위모사⟩·⟨신세타령⟩을 중심으로-
-
고순희;
부경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1,
pp.103-132)
-
55
-
만주망명인을 둔 寒洲宗宅 宗婦의 가사문학 -⟨感懷歌⟩와 ⟨별한가⟩-
-
고순희;
부경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1,
pp.91-122)
-
56
-
漢時 飜譯文體 硏究(Ⅱ) -우리 漢時 飜譯의 성격과 飜譯文體의 제문제-
-
고순희;
부경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20,
2001,
pp.273-303)
-
57
-
근대계몽기 국문실기 ⟨을사명의록⟩ 연구 - 국문기록 의식을 중심으로
-
고순희;
부경대학교;
(동북아 문화연구,
v.1,
2013,
pp.77-93)
-
58
-
만주망명 가사 ⟨간운사⟩ 연구
-
고순희;
부경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0,
pp.107-134)
-
59
-
⟨노처녀가 Ⅰ⟩ 연구
-
고순희;
부경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14,
2003,
pp.6-313)
-
60
-
일제강점기 망명 관련 가사에 나타난 만주의 장소성
-
고순희;
부경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34,
2013,
pp.189-21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