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34건 중 134건 출력
, 6/14 페이지
-
51
-
‘신사임당 초충도’ 18세기 회화문화의 한 양상
-
고연희;
이화여자대학교;
(美術史論壇,
v.0,
2013,
pp.127-152)
-
52
-
조선 왕실 繪畵의 ‘公共性’―民을 그린 그림을 중심으로―
-
고연희;
성균관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1,
pp.227-249)
-
53
-
司馬光에 대한 視覺的 기억의 전개와 의미
-
고연희;
서울대학교 규장각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5,
pp.255-281)
-
54
-
꿩의 은유에서 꿩의 행위성을 읽다
-
고연희;
성균관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4,
pp.163-188)
-
55
-
風景과 木材로 이용된 숲에 대한 환경사적 성찰 - 월송정의 소나무 숲과 <월송정도>를 중심으로 -
-
고연희;
성균관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23,
pp.169-191)
-
56
-
謙齋 鄭敾, 그 名聲의 근거 검토
-
고연희;
성균관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0,
pp.7-32)
-
57
-
投壺와 投壺格의 이미지화 고찰
-
고연희;
이화여자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5,
pp.113-137)
-
58
-
19세기 ‘地球’와 ‘世界’에 대한 시각적 인식- 集玉齋 수입서적 地球說略을 중심으로
-
고연희;
성균관대학교;
(한국고지도연구,
v.11,
2019,
pp.135-154)
-
59
-
繪畵를 통한 古典文學 학습, 그 효과와 의미
-
고연희;
성균관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8,
pp.99-127)
-
60
-
[서평] 우리나라 산수화를 보는 시각을 찾아서-고연희, 『조선시대 산수화: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』 (돌베개, 2007. 3)-
-
김현미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문화연구,
v.12,
2007,
pp.309-31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