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811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
-
영국의 미술 공예 운동과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
-
이정구;
;
(敎會史硏究 = Research journal of Korean church history,
v.15,
2000,
pp.165-180)
-
52
-
미술 공예 운동과 후기 인상주의 비교 예술론 연구
-
박연실;
홍익대학교 조형 대학;
(디자인學硏究 =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,
v.20,
1997,
pp.279-291)
-
53
-
Lacquer Crafts of the Xiongnu: Taste and Production of Crafts of the Xiongnu in Mongolia in Style of Han Dynasty
-
Lee, Songran;
;
(인문과학연구 = Journal of humanities :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,
v.34,
2022,
pp.155-186)
-
54
-
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Buddhist Crafts in Samgukyusa
-
Lee, Yongjin;
;
(美術史學 = Art History,
v.42,
2021,
pp.39-62)
-
55
-
수공예활동과 글씨쓰기활동이 양손협응(Bilateral coordination)에 미치는 영향
-
최혜숙;
동남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;
(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=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,
v.4,
2014,
pp.63-73)
-
56
-
윌리엄 모리스의 예술관과 문화융합으로서의 공예 : 자유롭고 창의적인 인간 활동으로서의 공예 지향에 관하여
-
변청자;
;
(한국공예논총 = The Korea society of craft,
v.13,
2010,
pp.49-68)
-
57
-
Korean Modern Crafts: Change of Cognition and Popular Trend
-
Jeong, Ji Hui;
;
(강좌 미술사 = The Art history journal,
v.55,
2020,
pp.197-219)
-
58
-
수공예활동이 자아존중감과 공감지수에 미치는 영향
-
장철;
김은지;
김영이;
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학과;
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학과;
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학과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= 대한통합의학회지,
v.6,
2018,
pp.59-68)
-
59.
- 미얀마 칠기 공예의 전통과 혁신
- 김인아
-
釜山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vi, 92p., 2006
-
60
-
가족이 함께하는 학교 밖 전통공예 방과 후 프로그램 탐색
-
양애경;
정현용;
김미혜;
한서대학교;
대전대학교;
한국전통문양연구소;
(방과후학교연구,
v.11,
2024,
pp.141-16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