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심설(沈偰)묘 출토유물에서 발현되는 VOCs 및 냄새물질의 특성 평가
-
서용수;
이영은;
부경대학교 환경연구소;
경기도박물관 보존과학실;
(보존과학회지 =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,
v.28,
2012,
pp.63-73)
-
52
-
『補閑集』 소재 기이담을 통해 본 최자의 의식지향
-
곽미라;
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;
(동악어문학,
v.0,
2020,
pp.45-74)
-
53
-
16세기 筆記를 통해 본 중인층 지식인의 내면과 타자인식
-
곽미라;
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20,
pp.177-201)
-
54
-
『역옹패설·전집』의 성립에 대한 재검토 -『귀전록(歸田錄)』의 영향을 중심으로-
-
곽미라;
동국대학교;
(국제어문,
v.0,
2011,
pp.73-108)
-
55
-
⟨壬子燕行別曲⟩의 작자와 창작시기 변증
-
곽미라;
동국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12,
pp.5-30)
-
56
-
고려시대 인물기술의 한 양상 -『櫟翁稗說』의 경우 -
-
곽미라;
동국대학교;
(국제어문,
v.0,
2014,
pp.301-327)
-
57
-
筆記에 드러난 ‘僧侶’의 형상 - 『慵齋叢話』의 경우 -
-
곽미라;
북경대 중문과 고전문헌 교연실;
(불교학보,
v.0,
2014,
pp.273-297)
-
58
-
조선전기의 사대부문학과 筆記-『靑坡劇談』 소재 ‘笑話’를 중심으로-
-
곽미라;
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;
(漢文學報,
v.45,
2021,
pp.105-143)
-
59
-
100章本 「述夢瑣言」의 서지적 고찰 - 87章本과의 이본 비교를 통해 -
-
곽미라;
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;
(서지학연구,
v.0,
2022,
pp.101-122)
-
60
-
16세기 필기 『摭言』의 성격과 기록 양상
-
곽미라;
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22,
pp.41-7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