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31건 중 131건 출력
, 6/14 페이지
-
51
-
최남선과 국민문학론의 위상
-
구인모;
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12,
2005,
pp.9-36)
-
52
-
일본의 식민지 철도여행과 창가 - 『滿韓鐵道唱歌』(1910)를 중심으로 -
-
구인모;
;
(한국학,
v.32,
2009,
pp.195-223)
-
53
-
근대기 한국의 보들레르 시 번․중역과 그 함의 : 김억과 양주동의 설전을 중심으로
-
구인모;
연세대학교;
(동악어문학,
v.0,
2020,
pp.11-48)
-
54
-
홍사용과 구술문화 전통의 의미
-
구인모;
동국대학교;
(동악어문학,
v.0,
2011,
pp.133-163)
-
55
-
金億의 格調詩形論에 對하여
-
구인모;
연세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05,
pp.263-294)
-
56
-
한국 근대시와 '조선'이라는 심상지리
-
구인모;
연세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08,
pp.153-180)
-
57
-
유성기음반과 변사의 구연(口演) - 영화설명․영화극 장르 음반을 중심으로 -
-
구인모;
연세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3,
pp.5-32)
-
58
-
중역(重譯)과 근대시 문체 형성의 한 단면 - 김억의 사례를 중심으로
-
구인모;
연세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21,
pp.7-43)
-
59
-
귀환한 탕자의 초상, 20년대 국민문학론자들의 열망과 좌절 구인모, 『한국 근대시의 이상과 허상』(소명출판, 2008)
-
박슬기;
세종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9,
pp.421-426)
-
60
-
Sp Record and Byeonsa’s Narrating
-
구인모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46,
2013,
pp.5-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