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『宋子大全』 간행에 관한 연구 - 『掃塵錄』과 『尊衛案』의 내용을 중심으로 -
-
박준호;
국립청주박물관;
(서지학보,
v.0,
2010,
pp.195-222)
-
52
-
朝鮮後期 白衣觀音壁畵의 圖像과 信仰 硏究
-
유경희;
국립청주박물관;
(미술사학연구,
v.265,
2010,
pp.197-231)
-
53
-
일제강점기공주 송산리고분의 조사
-
정상기;
국립청주박물관;
(중앙고고연구,
v.0,
2012,
pp.249-292)
-
54
-
公文書의 官印 硏究 - 禮式에 따른 官印 체제를 중심으로 -
-
박준호;
국립청주박물관;
(古文書硏究,
v.36,
2010,
pp.1-25)
-
55
-
중국 고대 鐵鏡의 출토 양상과 시대별 특징 연구
-
안경숙;
국립청주박물관;
(한국고대사탐구,
v.0,
2025,
pp.429-459)
-
56
-
러시아 투바지역 흉노 조사의 최근 연구 동향
-
이우섭;
국립청주박물관;
(중앙아시아연구,
v.26,
2021,
pp.1-19)
-
57
-
발해 연화문와당의 편년과 지역성
-
이우섭;
국립청주박물관;
(한국고고학보,
v.0,
2017,
pp.120-153)
-
58
-
울산 영축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의 제작시기와 성격
-
이용진;
국립청주박물관;
(불교미술사학,
v.28,
2019,
pp.637-654)
-
59
-
瑞山 普願寺 鐵造如來坐像 考察
-
강건우;
국립청주박물관;
(미술자료,
v.0,
2021,
pp.22-49)
-
60
-
연호문(連弧文)의 제도와 삼한경(三韓鏡)의 기술 계보
-
이양수;
국립청주박물관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54,
2021,
pp.164-18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