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547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
-
만력 전반기 명의 정세와 임진전쟁 참전과정
-
김경록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만주연구,
v.0,
2023,
pp.165-200)
-
52
-
2010년대 북한의 도발과 한국 전쟁지도체제의 대응 분석
-
김정기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한국군사학논집,
v.76,
2020,
pp.349-390)
-
53
-
6·25전쟁 이전 북한의 군사원호사업 연구
-
김선호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현대북한연구,
v.28,
2025,
pp.7-48)
-
54
-
‘포모사(Formosa)’와 ‘대만(臺灣)’ 사이
-
정형아;
정창원;
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;
제주대학교;
(지방사와 지방문화,
v.23,
2020,
pp.369-394)
-
55
-
국방기술 - 안정 작전과 대반란전의 미래(The War after This One)
-
남보람;
정철승;
조상근;
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;
육군본부 비서실 정책과;
레바논 동명부대 12진 서부여단;
(國防과 技術 = Defense & technology,
v.2013,
2013,
pp.94-103)
-
56
-
Migration and Settlement, Recreation of Communities - Focused on Overseas Chinese in Busan and People from Jeju in Japan
-
鄭炯兒;
鄭椙
元;
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, MND;
Department of History, Jeju National University;
(문화와 융합 = Culture and convergence,
v.40,
2018,
pp.521-542)
-
57
-
명초 홍무제의 종교정책과 통치구상 - 불교와 도교를 중심으로 -
-
김경록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명청사연구,
v.0,
2016,
pp.171-211)
-
58
-
주월한국군의 철군과정과 한국정부의 대응
-
이신재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군사연구,
v.0,
2018,
pp.263-291)
-
59
-
6·25전쟁 시 장사상륙작전에 대한 재검토
-
박종상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20,
pp.243-282)
-
60
-
/서평/ 19세기 영국 해군의 변화에 대한 새로운 조명, 석영달, 『실패한 개혁, 혹은 개혁의 첫 걸음: 19세기 영국 해군개혁의 성과와 한계』 (혜안, 2023)
-
전윤재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영국연구,
v.0,
2023,
pp.269-27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