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1건 중 141건 출력
, 6/15 페이지
-
51
-
「계미서(癸未書)」를 통해 본 조선시대 초기의 음식문화에 대한 고찰
-
한복려;
김귀영;
궁중음식연구원;
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;
(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,
v.33,
2018,
pp.307-321)
-
52
-
18세기 고문헌 「잡지」에 기록된 조리에 관한 문헌적 고찰
-
한복려;
김귀영;
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;
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;
(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,
v.27,
2012,
pp.304-315)
-
53.
- 전약의 품질특성 및 약선 식료학적 평가
- 정혜윤
-
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, 국내석사,
vii 59 p., 2010
-
54
-
조선시대 어만두(魚饅頭)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- 의궤와 고문헌을 중심으로
-
오순덕;
조선왕조의궤 음식문화연구소;
(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: JCCT = 문화기술의 융합,
v.2,
2016,
pp.1-12)
-
55
-
커피설기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품질 특성 및 상품화 방안
-
서한석;
김세희;
한복려;
황인경;
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ㆍ생활과학대학;
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ㆍ생활과학대학;
궁중음식연구원;
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ㆍ생활과학대학;
(한국조리과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,
v.20,
2004,
pp.170-179)
-
56
-
할미꽃(백두옹, Pulsatilla koreana) 첨가량에 따른 오미지의 미생물학적 특성
-
한복려;
문혜경;
조정순;
김종국;
김귀영;
김준한;
궁중음식연구원;
상주대학교 기술혁신센터;
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상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상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상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(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=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,
v.15,
2005,
pp.613-618)
-
57.
-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난 茶食연구
- 김난실
-
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, 국내석사,
iv, 73 p., 2009
-
58
-
'2002년 월드컵'을 계기로 본 '한국전통음식의 과학'
-
윤숙자;
배화여자대학 전통조리과;
(과학과 기술 = The science & technology,
v.34,
2001,
pp.67-68)
-
59
-
?御製內訓?의 宮中語 硏究
-
방향옥;
中國 齊齊哈爾大學校;
(새국어교육,
v.0,
2007,
pp.419-446)
-
60
-
『순조기축진찬의궤』에 나타난 의례식 분석- 의주(儀註)를 중심으로 -
-
김명희;
김아현;
송은주;
경기대학교;
경기대학교;
경기대학교;
(외식경영연구,
v.18,
2015,
pp.27-4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