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현대 춤의 디지털 미학 - 가상성과 상호작용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-
-
김말복;
이지선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무용예술학연구,
v.24,
2008,
pp.1-27)
-
52.
- 순조조(純祖朝) 궁중정재에 나타난 정재무구 특성 연구 : 효명세자 대리청정기를 중심으로
- 김수진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90 p., 2011
-
53.
- '섹슈얼리티(Sexuality)'를 통해 본 영화와 무용 속 몸 이미지 연구
- 나수진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86 p., 2011
-
54.
- 한국 민속무용에 내재된 ‘장자의 덕(德)’ 개념 연구 : 「동래학춤」을 중심으로
- 주미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90 p., 2011
-
55.
- 무용수의 극적 표현성 확대를 위한 연기훈련 방법론
- 김혜숙
-
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vi, 62p., 1995
-
56.
- 한국 민속춤에 나타난 '신명풀이' 연구 : 카타르시스개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
- 박은영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70 p., 2012
-
57.
- 효명세자 대청시(代聽時) 정재의 실현양상과 예술적 지향성(志向性) 연구
- 최윤정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98 p., 2012
-
58.
- 트와일라 타프(Twyla Tharp)의 작품에 나타난 에코 페미니즘 특성에 관한 연구 : 「캐서린 휠(The Catherine Wheel)」(1983)을 중심으로
- 임지윤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78 p., 2012
-
59.
- 컨템포러리 댄스에 나타난 디지털 이미지 연구 : 빌렘 풀루서의 기술적 형상 개념을 중심으로
- 나수진
-
이화여자대학교, 국내박사,
vi, 139 p., 2020
-
60.
- 존 크랑코(John Cranko)의 안무스타일에 관한연구 : 「로미오와 줄리엣」,「오네긴」,「말괄량이 길들이기」중심으로
- 팽송이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93 p., 201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