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2건 중 92건 출력
, 6/10 페이지
-
51
-
노근리 트라우마, 그 상처와 화해 정은용 실화소설 『그대, 우리의 아픔을 아는가』(1994)의 경우
-
김응교;
숙명여자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3,
pp.356-377)
-
52
-
김수영 시와 니체의 철학-김수영 「긍지의 날」, 「꽃잎.2」의 경우-
-
김응교;
숙명여자대학교;
(시학과 언어학,
v.0,
2015,
pp.33-58)
-
53
-
이방인, 자이니치 디아스포라 문학
-
김응교;
한양대학교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0,
2010,
pp.123-157)
-
54
-
백석․일본․아일랜드-백석 시 연구(3)
-
김응교;
숙명여자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0,
pp.99-121)
-
55
-
백석의 일본기행시와 환상 - 백석 시 연구·5 -
-
김응교;
숙명여자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44,
2013,
pp.383-414)
-
56
-
김사량 「빛 속으로」의 이름·지기미·도시유람 도쿄와 한국인 작가(2)
-
김응교;
숙명여자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20,
2002,
pp.382-406)
-
57
-
대지의 상상력, 장시 「이야기 하는 쟁기꾼의 대지」 -시인 신동엽 연구・7-
-
김응교;
숙명여자대학교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0,
2013,
pp.191-224)
-
58
-
만주, 디아스포라 윤동주의 고향
-
김응교;
숙명여자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0,
2012,
pp.105-139)
-
59
-
우애와 기억의 공간, 윤동주와 정병욱 - 윤동주 연구.4
-
김응교;
숙명여자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49,
2015,
pp.7-34)
-
60
-
히라야마 야키치, 신동엽과 회상의 시학-시인 신동엽 연구(4)
-
김응교;
숙명여자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6,
pp.266-29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