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송강 한시와 가사의 비교 연구 -⟨代人戱別梧陰⟩와 ⟨思美人曲⟩을 중심으로-
-
김주수;
경성대학교;
(漢文學報,
v.23,
2010,
pp.257-284)
-
52
-
晦隱 南鶴鳴 시세계 연구
-
김주수;
경성대학교;
(한국한시연구,
v.0,
2005,
pp.247-285)
-
53
-
율곡 시에 나타난 ‘拙樸’의 미의식 -『정언묘선』 「원자집」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-
-
김주수;
경성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08,
pp.409-443)
-
54
-
현대시에 나타난 두견 모티브 연구 -한시의 두견 모티브 수용을 중심으로
-
김주수;
경성대학교;
(민족문화,
v.36,
2010,
pp.303-326)
-
55
-
習齋 權擘의 七言絶句에 대하여 -句中對의 작법적 특성을 중심으로-
-
김주수;
경성대학교;
(대동한문학(大東漢文學),
v.0,
2008,
pp.271-294)
-
56
-
『精言妙選』「亨字集」 시의 공간미학 - ‘봄과 物外自樂을 지향하는 음의 공간성’을 중심으로
-
김주수;
경성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08,
pp.63-94)
-
57
-
김시습 시에 나타난 ‘拙樸’의 문예미학
-
김주수;
경성대학교;
(漢文學報,
v.18,
2008,
pp.251-280)
-
58
-
김시습 시의 ‘自然聲에 의한 破夢’ 모티브
-
김주수;
경성대학교;
(한국한시연구,
v.0,
2008,
pp.195-225)
-
59
-
醇言과 精言妙選의 시학 사상
-
김주수;
경성대학교;
(한국한시연구,
v.0,
2006,
pp.331-365)
-
60
-
黃眞伊 한시와 시조의 비교연구 - 수사적 특성을 중심으로
-
김주수;
경성대학교;
(漢文學報,
v.25,
2011,
pp.239-26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