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A Comparative Study on Posthumanism in Korea-China Science Fiction ― Focusing on Novels of Kim Cho-yeop and Hao Jing-fang
-
Qin, Yaou;
Kim, Ji-Hye;
;
(국제한인문학연구 = Journal for oversea korean literature,
v.38,
2024,
pp.351-375)
-
52
-
한국 SF 문학의 시공간 및 초공간 활용 양상 연구 -배명훈 ․ 김초엽 ․ 김보영의 소설을 중심으로
-
박인성;
부산가톨릭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20,
pp.245-277)
-
53
-
불평등한 재난에 맞서는 느슨한 공동체의 힘― 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과 조예은의 스노볼 드라이브를 중심으로 ―
-
오혜진;
남서울대학교;
(어문론집,
v.95,
2023,
pp.373-397)
-
54
-
SF 서사에 나타난 과학적 상상력과 인간탐구 : 김초엽의 「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」를 중심으로
-
오은엽;
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;
(교양학 연구,
v.0,
2024,
pp.115-140)
-
55
-
서구의 기술담론을 재맥락화하는 한국SF의 문학적 실험 : 김초엽의 『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』을 중심으로
-
구연정;
숭실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부교수;
(스토리앤이미지텔링,
v.0,
2024,
pp.13-37)
-
56
-
푸코의 공간론을 통해 본 SF의 헤테로토피아 - 김초엽의 『지구 끝의 온실』을 중심으로 -
-
김수지;
김미영;
한양대학교;
한양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24,
pp.125-159)
-
57
-
인류세 시대의 유스토피아와 사이보그-‘되기’: <지구 끝의 온실>을 중심으로
-
이양숙;
서울시립대학교;
(도시인문학연구,
v.15,
2023,
pp.161-193)
-
58
-
한국여성 SF에 나타난 신체기술과 지구공동체—김초엽의 『지구 끝의 온실』을 중심으로
-
윤영옥;
전북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22,
pp.219-243)
-
59
-
2020년대 현실에서 찾는 더 나은 곳 ‘에우토피아’ - 김초엽의 『지구 끝의 온실』 을 중심으로
-
최애순;
계명대학교;
(한국어문교육,
v.0,
2024,
pp.197-228)
-
60
-
미래는 끝나지 않았다: 마가렛 애트우드와 김초엽 소설에 나타난 지구 종말이후의 이야기들
-
전소영;
경희대학교;
(동서비교문학저널,
v.0,
2023,
pp.291-30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