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독일 표현주의 산문
-
김충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03,
pp.2-44)
-
52
-
벤의 연작시 ⟨시체공시장. 기타⟩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
-
김충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06,
pp.29-46)
-
53
-
에른스트 톨러의 표현주의 이념극 변화 연구
-
김충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05,
pp.109-128)
-
54
-
신화의 구도 속에 나타난 현재의 정치적 상황*- 보토 슈트라우스Botho Strauß의 드라마, 「균형Das Gleichgewicht」과 「이타카Ithaka」를 중심으로-
-
김충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00,
pp.127-148)
-
55
-
카프카의 『유형지에서』의 양극적 독법 (讀法)
-
김충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09,
pp.123-148)
-
56
-
독일 표현주의 시의 오펠리아-모티프 수용
-
김충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01,
pp.129-152)
-
57
-
세계사적 전환기에 요청되는 리더십과 시민의식
-
김충남;
East-West Center;
(전략연구,
v.14,
2007,
pp.14-57)
-
58
-
카프카와 표현주의-⟨변신⟩에 나타난 표현주의적 요소
-
김충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04,
pp.50-68)
-
59
-
표현주의 문학의 광인과 광기 - 하임의 『광인』을 중심으로
-
김충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50,
2009,
pp.104-123)
-
60
-
카프카의 소송에 나타난 표현주의 모티프
-
김충남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07,
pp.121-14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