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프로토콜 분석을 활용한 쓰기 과정 지도 및 평가 - 논술 텍스트 생산 과정 모형을 중심으로
-
김평원;
이화여대;
(새국어교육,
v.0,
2011,
pp.5-36)
-
52
-
언어폭력지수 개발을 위한 욕설 자극 반응의 측정과 분석
-
김평원;
인천대학교;
(화법연구,
v.0,
2014,
pp.255-287)
-
53
-
국어과 고교-대학 연계 교육 연구 -고교 ⟨화법⟩과 대학 ⟨교양 화법⟩의 면접 수업을 중심으로-
-
김평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화법연구,
v.0,
2012,
pp.9-45)
-
54
-
시각 자료를 활용한 국어 발음 교육 연구
-
김평원;
서울대학교;
(문법 교육,
v.8,
2008,
pp.61-92)
-
55
-
인성 핵심 역량을 반영한 국어 표현교육 연구
-
김평원;
인천대학교;
(교육연구,
v.72,
2018,
pp.9-29)
-
56
-
시선 추적 결과물을 활용한 시각 자료 해석 교육
-
김평원;
인천대학교;
(새국어교육,
v.0,
2017,
pp.67-91)
-
57
-
친일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교수∙학습 전략
-
김평원;
인천대학교;
(청람어문교육,
v.0,
2017,
pp.207-236)
-
58
-
기상 보도 텍스트를 활용한 복합 양식 문식성 교육
-
김평원;
인천대학교;
(새국어교육,
v.0,
2018,
pp.67-94)
-
59
-
트롤리 문제를 활용한 가치 토론 교육 전략
-
김평원;
인천대학교 국어교육과;
(교육연구,
v.91,
2024,
pp.7-28)
-
60
-
디지털 교구와 디지털 인간을 탑재한 디지털교과서의 교수·학습 효과
-
김평원;
인천대학교;
(국어교육연구,
v.0,
2024,
pp.67-10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