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허균의 우정론과 그 의미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10,
pp.115-138)
-
52
-
김시습의 언해(諺解) 사업 참여와 절의 의 문제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8,
2004,
pp.29-48)
-
53
-
동아시아 전통사회에서의 명승(名勝)의 구성과 탄생 : 설악산을 중심으로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동아시아고대학,
v.0,
2014,
pp.333-363)
-
54
-
권위를 생성하는 글쓰기와 변계량의 문장의 문학사적 의의 —조선의 전통과 중화주의의 길항—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53,
2021,
pp.269-300)
-
55
-
四佳 徐居正의 문장에 나타난 弛張論과 그 정치적 확산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국학연구론총,
v.0,
2022,
pp.99-138)
-
56
-
조선 후기 제례(祭禮)에 나타난 제수(祭需) 진설(陳設)의 사례 연구 -『壯節公墓所定式節目序』를 중심으로-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73,
2021,
pp.247-282)
-
57
-
허균의 「견가림신」(譴加林神)에 나타난 민속지(民俗誌)적 성격과 그 의미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50,
2018,
pp.137-159)
-
58
-
⟨청구제영(靑邱題詠)⟩ 소재 강원도 지역 시문의 특징과 의의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강원문화연구,
v.47,
2023,
pp.5-24)
-
59
-
시간 극복으로서의 번역과 공동체 문화의 계승 -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출간의 의미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국학연구론총,
v.0,
2021,
pp.33-53)
-
60
-
근재 안축의 시문에 나타난 公的 풍경 구성 방식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漢文古典硏究,
v.43,
2021,
pp.1-2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