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44건 중 244건 출력
, 6/25 페이지
-
51.
- 江原地域의 舊石器文化 硏究
- 崔承燁
-
강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v, 352 p., 2010
-
52.
- 거창 정장리유적 구석기시대 석기제작소 연구
- 장대훈
-
목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1, 122 p., 2007
-
53.
- 신석기시대 뗀석기 기술과 생업활동 : 한강 유역 주거지 유적을 중심으로
- 김영준
-
단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, 177 p., 2020
-
54
-
한국선사시대 석기문화에 대한 연구: 석기문화와의 진화
-
배기동;
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;
(第四紀學會誌 =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,
v.11,
1997,
pp.1-24)
-
55
-
嶺東地城 後期舊石器遺物群의 變遭
-
최승엽;
강원대학교;
(江原史學,
v.0,
2008,
pp.33-50)
-
56
-
龍潭댐 水沒地區의 新石器文化-鎭安 갈머리遺蹟을 中心으로-
-
안승모;
이영덕;
원광대학교;
호남문화재연구원;
(호남고고학보,
v.19,
2004,
pp.25-61)
-
57
-
여주 연양리 구석기 유적의 재고찰
-
이정철;
한양대학교;
(학림,
v.47,
2021,
pp.123-166)
-
58
-
중부 서해안 구석기유적 예보
-
유용욱;
충남대학교;
(인천학연구,
v.1,
2014,
pp.117-153)
-
59
-
정치·사회적 맥락에 따른 북한 구석기 연구 변화
-
이형우;
전북대학교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53,
2020,
pp.126-149)
-
60.
- 청원 노산리 구석기유적 3·4지점 몸돌 분석을 통해 본 제작양상과 작업과정 연구
- 윤병일
-
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ix, 155 p., 2014